‘석현 박은용의 삶과 예술’ 교육 프로그램은 11월 5~6일(오전 10시~12시) 빛고을 아트스페이스 2층 문화예술 작은도서관 문화프로그램실에서 총 2회 진행되었다.
이번 강의를 통해 박은용 화백이 치열하게 살아온 한국의 현실을 돌아보며 함께 한국화에 대한 인문학적 소양을 넓힐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이번 강의를 통해 박은용 화백이 치열하게 살아온 한국의 현실을 돌아보며 함께 한국화에 대한 인문학적 소양을 넓힐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소식지(206호) 10월30일(금) 2부 광주를 읽는 다섯 개의 렌즈에 5월 미술과 민중미술 하성흡 민중화가 극한의 순간! 찰나의 포착! 박하선 사진작가 사람책 목록으로 참여하여 많은 사람들과 함께 대화하며 경험을 공유하였다. 한국화에담긴박은용의삶과예술 광주문화재단 문화예술작은도서관 인문학 강좌 ‘석현 박은용의 삶과 예술’ 교육 프로그램은 11월 5~6일(오전 10시~12시) 빛고을 아트스페이스 2층 문화예술 작은도서관 문화프로그램실에서 총 2회 진행되었다. 이번 강의를 통해 박은용 화백이 치열하게 살아온 한국의 현실을 돌아보며 함께 한국화에 대한 인문학적 소양을 넓힐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담양 해동문화예술촌, 문화가 있는 날'앙코르 해동'행사 토요일 열려 매달 마지막 주 토요일, 해동문화예술촌에서 담양군에서 즐기는 문화의 장 매월 마지막 주 토요일에 개최하는 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 ‘앙코르 해동’이 오는 31일 오후 7시 담양군 해동문화예술촌 마당에서 열렸다.. 코로나19로 인한 하반기 첫 프로그램 시작인 이번 공연의 주제는 ‘담빛, 10월을 닮다, 이정주 명창과 함께하는 고풍 음악회’로 진행되었다. 도예가 김치준선생도 참여하여 더욱 풍성한 행사가 되었다. 이번달에 28일에는 '가을재즈 콘서트'를 주제로 행사가 열린다. 무등공부방 아시아센터 특별강연-아홉번째 주제: 번역국가 일본과 고서점 강사:이종욱 선생(일본 관서대학) 일시:2020년11월9일(월) 장소:무등공부방 일본은 미국과 유럽으로 유학생을 파견하는 것과 고급문헌을 번역하는 데서 출발하여 근대국가를 완성했다. <베트남 도이머이의 사상적 토대>세미나 주제:도이머이 해외 연구동향 영미와 일본어권 일시:2020년 11월5일(목) 장소:책방 심가네박씨 연구개요 김성범 박사 일본어권 연구동향 발표 이종욱(아시아인문 재단) 질의응답 및 총평 김상봉 교수(전남대) (61928)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대로 1156 2층(농성동) 전화 062)366-2666 팩스 062)366-2667 이메일:mudeung2009@hanmail.net 후원회 계좌:광주은행 1107-020-111595 연락처:강성구 010-7213-1329 |
매주 무등공부방의 소식을 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