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지(253호) <광주 마한문화유산 활용방안 학술회의> 주제 : 광주 마한문화유산 활용방안 주최/주관 : 광주광역시/마한연구원 일시 : 2021년 10월 15일(금) 13:20~17:30 장소 : 전일빌딩245 강당 안녕하십니까? 무등공부방 마한연구원에서는 광주광역시의 요청에 따라<광주 마한문화유산 활용방안>을 주제로 학술회의를 개최하고자 합니다. 코로나19에 따른 거리두기 원칙 등 방역 지침을 준수할 것입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기대합니다. 무등공부방 지역사 연구소 모임 주제 : 고려시기의 전라도 발표 : 변동명(지역사 연구소 소장) 일시 : 2021년 10월15일(금) 19시 장소 : 무등공부방 2층 안녕하십니까? 무등공부방 지역사 연구소에서는 <고려시기의 전라도>라는 의미있고 재미있는 주제로 발표 모임을 갖고자 합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석 부탁드립니다. 이젠 ‘홍익자연’으로 기후위기의 인류문명을 구하자 기후 위기로 인류문명의 지속가능성이 의심되는 요즘 ‘홍익인간’ 정신이야말로 바로 인류가 지향해야 할 최고의 환경철학이라고 생각해본다. 공익 위에 홍익으로 한마디로 자연을 닮아 공생하자는 실천적 생태사상이 아닌가? 또한 이젠 서구적 근대화로 촉발된 현대 인류문명의 자연파괴, 자기파괴로 초래된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홍익인간’을 넘어 자연의 모든 다른 생물과 무생물까지도 포괄하는 ‘홍익자연’으로 나아가야 할 때이다. ‘홍익자연’사상을 전 세계와 공유해 기후위기의 인류문명을 선도해야 종가집 종손인 어린 시절 우리가 잘못을 저질렀을 때 어머님께서 ‘얘야 자연스럽지 못하게 그게 뭐냐 순리대로 살아야지’라고 야단치셨는데 그땐 그 말이 무슨 뜻인지 몰랐다. 1985년 말 독일 베를린 유학시절 한 독일인 음악가 할아버지가 지독하게 가난했던 우리 부부를 집세도 안 내고 함께 살게 해주셨다. 베를린필 바이올리니스트였던 헤르만 바그너 할아버지는 86세의 고령인데도 매일 아침 새벽 5시면 일어나 냉수마찰과 도인체조를 한 뒤 돌아가신 할아버지처럼 가부좌를 틀고 앉아 명상을 하셨다. 유기농 채식만 하는 바그너 할아버지는 인류문명이 산업화의 확산과 환경파괴로 곧 멸망한다며 대안으로 동양철학인 노자와 장자를 가르쳐 주셨다. 할아버지의 영향으로 난 박사학위 논문주제를 전공인 식품분야에서 바이오에탄올 폐수처리로 바꾸고 동양의 자연철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우리 한식은 기름에 튀기고 구워먹는 중식이나 양식과는 달리 수많은 나물 들처럼 가능하면 있는 그대로 먹거나 비빔밥처럼 섞어서 먹고 또한 가공을 하더라도 자연의 발효를 이용한 음식문화가 주류를 이룬다. 난 이 사실을 깨닫고 자연철학을 오롯이 전수해 온 나라는 바로 우리 한민족이라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 국수나 떡국에 오색고명을 얹어 먹고 오미, 오채, 오과, 오축 등 골고루 먹는 이러한 문화는 바로 음양오행과 8괘중 4개를 담은 태극기 철학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한국의 정신은 장대하고 화려하기 보다는 소박하고 자연을 향해 열려있는 건축문화를 비롯해 검소함을 바탕으로 풍류도를 따르는 선비정신에까지 바로 우리 전통문화정신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홍익인간 즉, 한사상(韓思想)은 동학·임정으로 이어져 내려온 촛불시민혁명의 뿌리 단군 환웅시대로부터 내려온 신지문자 천부경을 처음 한자로 번역한 것으로 믿어지는 최치원은 이를 화첩으로 만들어 널리 보급해 청소년들을 화랑정신으로 교화했다. 몽골에 항복한 고려 때와 주자학에 경도돼 대명 사대주의를 표방한 조선시대엔 권력자들이 이들을 탄압했지만 사림의 선비정신으로 이어졌고 정조와 다산 정약용의 위민정신은 외세에 의해 나라가 위태로워지면서 동학혁명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민초들의 불굴의 정신은 일제하에서도 나라를 되찾기 위해 전 국민이 목숨을 걸고 저항한 3·1정신으로 폭발하였다. 3·1운동은 중국 등 다른 어느 나라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견고한 공동체 정신으로 나라사랑 민족사랑의 극치를 보여주었다. 비록 성공하지는 못 했지만 중국의 5·4선언으로 전파되는 등 제국주의에 저항한 세계사 초유의 큰 울림이 되었다. 다시 3·1정신은 임정 민주공화제의 자양분이 되었고, 안중근 의사, 이육사 시인, 이준 열사 등 수 많은 독립운동가 들이 목숨을 걸고 지키려 했던 것은 다름 아닌 수천 년 내려온 의(義)로운 정신의 나라와 백성들 이었던 것이다. 백성을 소중히 여기는 이러한 한사상(韓思想)은 해방 후에도 면면히 이어져 사대주의자들의 일당 독재에 대항한 4·19, 5·18을 거쳐 마침내 SNS직접민주주의를 통해 이룩한 '촛불시민혁명'으로 민주주의의 꽃을 피운 것으로 사료된다. 최근 민주당 국회의원 12명이 교육기본법2조에서 홍익인간을 삭제하고 민주시민으로 교체하자는 교육기본법 개정안을 입법예고했으나 큰 반발을 사자 바로 철회했다. 이는 반만년 유구한 우리 민족의 뿌리철학을 없애자는 어리석은 발상인데 홍익인간에 대한 기본이해가 없었기 때문이 아닐까? 이젠 단군조선의 ‘홍익인간’이념을 대한민국의 교육이념으로 확고히하고 ‘홍익자연’으로 확대해 기후위기의 인류문명을 선도하도록 한류로 널리 보급해야 할 때이다. 다산연구소 다산포럼 -글쓴이: 이 기 영(초록교육연대 공동대표, 호서대 명예교수) 오래전의 기억을 더듬어 보게하는 풍경이다. 동네에서 마지막으로 남았던 초가집. 순복이 누나네 집이었는데 헐린다고 했다. 왠지 모르게 아침 일찍 헐리기 전에 가보고 싶었다. 벌써 이곳저곳이 손을 탔는지 폐가의 모습이다. 나의 추억도 있고해서 애잔한 마음이 밀려왔다. 그때만 해도 기록의 가치를 실감하지 못할 때지만 그냥 말 수는 없다는 생각에 주변을 한동안 서성거렸다. 그 누나는 일찌기 부모를 여의고 얼마동안 혼자 이 집에서 지냈는데 그래도 항상 밝은 성격이라 동네 또래들의 사랑방이었다. 우리 머슴아들은 신발을 감추는 등 짓궂은 장난을 많이쳤다. 그럴 때마다 다투기가 다반사였지만, 누나가 내 온 바가지의 찐 고구마에는 오작꾸들도 사족을 못썼다. 그러다가 순복이 누나는 동네를 떠났고 이 빈집만 남아 있었다. 많은 세월이 흘렀고 그 이후 지금껏 어떠한 소식도 듣지 못했다. 세상살이가 그렇고 그런 거지만 오늘은 이렇게 생각이 난다. 순복이 누나가 괜시리 보고 싶다. 전남일보 21.10.01 (61928)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대로 1156 2층(농성동) 전화 062)366-2666 팩스 062)366-2667 이메일:mudeung2009@hanmail.net 후원회 계좌: 광주은행 1107-020-111595 연락처: 강성구 010-7213-1329 수신거부 Unsubscribe |
매주 무등공부방의 소식을 전합니다.